맨위로가기

로코 필리피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코 필리피니는 1944년생으로, 첼리스트이자 교육자였다.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 우승을 시작으로 유럽, 북미, 남미 등지에서 연주 활동을 펼쳤으며, 밀라노 트리오, 아카르도 사중주단 창립 멤버로 활동했다. 밀라노 베르디 국립 음악원 교수,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특별 강좌를 맡았으며, 발터 슈타우퍼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등을 편집하고, 리하르트 바그너의 '베젠동크 가곡'을 편곡하여 출판했다. 2021년 스위스에서 코로나19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에서 코로나19로 죽은 사람 - 플라비오 코티
    플라비오 코티는 스위스의 기독교민주인민당 정치인으로, 외무 장관과 스위스 연방 대통령을 역임하며 스위스의 유럽 연합 가입을 추진했고 정계 은퇴 후에는 크레디트 스위스 이사 등을 지내다 2020년 코로나19로 사망했다.
  • 스위스에서 코로나19로 죽은 사람 - 슈테판 리페
    슈테판 리페는 독일 만하임 출신의 기업인으로 스위스 리 CEO를 역임하며 회사를 구제했고, Acqupart Holding AG, Acqufin AG 공동 설립 및 이사회 부회장, Paperless Inc.와 CelsiusPro AG의 이사회 의장, AXA 이사 및 감사 위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2020년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 2021년 사망 - 이완구
    이완구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충청남도지사를 지냈으며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성완종 리스트 사건 연루 의혹으로 사퇴 후 혈액암으로 사망했다.
  • 2021년 사망 - 김영주 (1920년)
    김영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동생이자 김정일의 삼촌이며, 한때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고, 7·4 남북 공동 성명 당시 북측 대표, 국가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로코 필리피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코 필리피니 (2009)
로코 필리피니 (2009)
본명Rocco Filippini
출생일1943년 9월 7일
출생지스위스
사망일2021년 4월 13일
사망지스위스
국적스위스
직업첼로 연주자
장르고전 음악
교육
사사펠리체 필리피니
경력
활동 시기1960년대 - 2021년
협연살바토레 아카르도
마우리치오 폴리니
니키타 마갈로프
사카리 오라모
리카르도 샤이
음악 활동
악기첼로
영향프란코 도나토니
조반니 솔리마
살바토레 스키아리노
밀라노 고등음악원

2. 생애와 음악 경력

로코 필리피니는 화가이자 작가, 방송인인 펠리체 필리피니와 피아니스트 다프네 살라티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음악 교육을 받았으며, 피에르 푸르니에와의 만남은 그의 음악 인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제네바 음악원의 프란츠 발터 교수와 함께 푸르니에는 필리피니의 스승이 되었다. 필리피니는 17세에 제네바 음악원에서 졸업장을 받았으며, 36년 만에 처음으로 수여되는 최고 영예인 "프리 드 비르튀오시테"를 수상했다. 이후 바이올리니스트 코라도 로마노 등 여러 스승들과 함께 연주 실력을 더욱 향상시켰다. 23세에는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본격적인 연주 경력을 시작했다.[1]

1979년 밀라노 베르디 국립 음악원의 첼로 교수로 임명되었고, 2003년 루치아노 베리오의 초청으로 로마의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에서 특별 강좌를 맡았다. 1985년 살바토레 아카르도, 브루노 주라나, 프랑코 페트라키와 함께 크레모나에 발터 슈타우퍼 아카데미를 설립했다.[1] 이 아카데미는 현악기 연주자를 위한 곳으로 설립 이후 다양한 국가에서 온 800명 이상의 젊은이들을 유치했으며, 2000년에 프랑코 아비아티 음악 평론가상을 수상했다.

2. 1. 연주 활동

로코 필리피니는 바로크 시대부터 현대 작품까지 폭넓은 음악 레퍼토리를 가지고 유럽, 북미, 남미, 호주, 일본의 주요 콘서트홀과 수많은 유명 축제에서 연주 활동을 펼쳤다.[1] 1968년 브루노 카니노, 체사레 페라레시와 함께 밀라노 트리오를 창단했으며, 이후 바이올리니스트 마리아나 시르부가 합류했다. 1992년에는 아카르도 사중주단의 창립 멤버였다.[1]

라 스칼라 극장에서 수많은 콘서트에 출연했으며,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독주회를 열고, 스칼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죄르지 리게티 협주곡을 연주했다. 마우리치오 폴리니와 함께 실내악 콘서트에 참여하여 로마, 런던, 도쿄, 뉴욕에서 수년간 콘서트 프로그램을 공연했으며, 페사로 로시니 오페라 페스티벌과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공연했다.[1] 2002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는 안나 카테리나 안토나치와 함께 파리 오케스트라의 이반 피셔 지휘로 파비오 바키의 '트레 베지에'를 초연했다.[1]

루돌프 세르킨의 초청을 받아 여러 차례 말보로 음악 학교 및 페스티벌과 "말보로의 음악" 콘서트 시리즈에 참여했다.[1]

프랑코 도나토니의 '알라', 루치아노 베리오의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듀엣'을 바탕으로 한 '첼로와 콘트라베이스를 위한 엘라보라치오네', 조반니 솔리마의 '더 송라인스', 살바토레 시아리노의 '일 파에세 센자르바' 등 오늘날의 주요 작곡가들은 그에게 작품을 헌정했다. 1987년 암스테르담 콘서트헤보우에서 살바토레 시아리노의 '트리오 2번'을 초연했으며, 2003년에는 밀라노 주세페 베르디 오케스트라의 '카덴자리오'를 지휘했다.[1]

디스키 리코르디를 위해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데이비드 포퍼의 '40개의 연습곡 작품 73', 아드리앙 프랑수아 세르베의 '6개의 카프리스 작품 11' 및 카를로 알프레도 피아티의 '12개의 카프리스 작품 25'를 편집했으며, 리하르트 바그너의 '베젠동크 가곡'과 마누엘 데 파야의 '스페인 민요 7곡'을 편곡하여 출판했다. RCA, Fone, Nuova Era, Assai, Fonit Cetra Italia, Amadeus, Dischi Ricordi, Symphonia, Dynamic 등의 레이블에서 수많은 음반을 발매했다.[1]

고어 부스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 (1710년)를 연주했다.[2]

2. 2. 음반

로코 필리피니는 RCA, Fone, Nuova Era, Assai, Fonit Cetra Italia, Amadeus, Dischi Ricordi, Symphonia, Dynamic 등 다양한 레이블에서 음반을 발매했다.[1] 또한 디스키 리코르디를 통해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데이비드 포퍼의 '40개의 연습곡 작품 73', 아드리앙 프랑수아 세르베의 '6개의 카프리스 작품 11', 카를로 알프레도 피아티의 '12개의 카프리스 작품 25'를 편집하고, 리하르트 바그너의 '베젠동크 가곡'과 마누엘 데 파야의 '스페인 민요 7곡'을 편곡하여 출판했다.

2. 3. 사망

그는 사진 작가 코시모 필리피니를 포함한 세 아들을 두었다.[3] 2021년 4월 스위스에서 코로나19로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3. 수상 및 영예


  • 1967년 - 스위스 음악가 협회 올해의 최우수 솔리스트상을 받았다.
  • 1995년 -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5]
  • 2001년 - 스위스와 이탈리아 간 문화 관계에 기여한 공로로 스위스 이탈리아 은행 센테나리오 재단상을 받았다.
  • 2010년 - 밀라노 음악원 명예 교수가 되었다.

참조

[1] 뉴스 sito della fondazione http://www.fondazion[...] 2012-01-22
[2] 뉴스 Cozio.com: cello by Antonio Stradivari, 1710 (Baron Rothschild, Gore-Booth) http://www.cozio.com[...] 2012-01-22
[3] 웹사이트 Cosimo Filippini - Home http://www.cosimofil[...] 2021-09-15
[4] 웹사이트 È morto il violoncellista luganese Rocco Filippini - Home https://www.cdt.ch/c[...] 2021-10-19
[5] 뉴스 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http://www.santaceci[...] 2012-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